본문 바로가기
재건축 재개발

재개발 재건축 이주비란? 대출여부 이자비용 가능조건

by 럽마셀유 2025. 2. 6.

이주비 대출이란? 정부 지원 상품과 활용 방법 총정리

재개발·재건축을 앞둔 조합원이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이 이주비 대출입니다. 기존 주택을 철거하고 새 아파트가 완공되기까지 거주할 곳을 마련하려면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주비 대출을 받을 때는 대출 한도, 기존 주택담보대출과의 관계, 정부 지원 여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주비 대출이 무엇인지, 대출 한도와 금리는 어떻게 되는지, 정부 지원 상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이주비 대출이란?

이주비(移住費) 대출은 재개발·재건축 조합원들이 기존 주택에서 이사할 때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받는 대출입니다.
기본적으로 조합이 금융기관과 협약을 맺고, 조합원이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보증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따라서 조합에 속한 조합원만 신청 가능하며, 일반적인 주택담보대출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2. 이주비 대출 한도와 금리

① 대출 한도

이주비 대출 한도는 감정평가액(기존 주택 평가금액)의 40~50% 수준입니다.

  • 최소: 감정평가액의 40%
  • 최대: 감정평가액의 50%
  • 추가적으로 분담금 대출(최대 70%)을 받을 수도 있음

 예시

  • 감정평가액이 4억 원인 경우,
    • 최소 대출 가능 금액: 1.6억 원 (40%)
    • 최대 대출 가능 금액: 2억 원 (50%)

 기존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경우

  • 기존 대출이 감정평가액의 50%를 초과하면, 이주비 대출을 받기 어려울 수 있음
  • 일부 금융기관은 기존 대출을 이주비 대출로 전환(대환 대출)하는 방식을 제공

② 대출 금리

이주비 대출 금리는 연 3~5% 수준으로 조합과 금융기관의 협약에 따라 다릅니다.
금리별 예상 월 이자 부담
대출금액금리 3%금리 4%금리 5%

1.6억 원48만 원/월64만 원/월80만 원/월
2.0억 원60만 원/월80만 원/월100만 원/월

※ 대출 이자는 대출금 × 금리 ÷ 12개월로 계산됩니다.
※ 원금은 새 아파트 입주 시 분양 대금과 함께 정산됩니다.


3. 정부 지원 이주비 대출 상품

정부에서는 조합원들의 이주 부담을 덜기 위해 이주비 대출 관련 보증 및 금융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①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이주비 대출보증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는 재개발·재건축 조합원을 대상으로 이주비 대출보증을 제공합니다. 이 보증을 활용하면 조합원이 금융기관에서 이주비 대출을 받을 때 보증이 제공되므로 대출 승인 가능성이 높아지고, 금리도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요 내용

  • 대상: 재개발·재건축 조합원
  • 보증 한도: 조합원별 종전 토지 및 건축물 평가액의 최대 70%
  • 금리: 금융기관별로 상이 (조합 협약 금융기관 이용 시 우대 가능)

② 주택도시기금의 이주 지원

주택도시기금에서는 쪽방, 반지하 등에 거주하는 분들을 위한 이주비 대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공공임대주택 이주 시: 최대 50만 원 지원
  • 민간임대주택 이주 시: 최대 5천만 원 무이자 대출 지원

단, 일반적인 재개발·재건축 조합원 대상은 아님.


③ 시중은행 이주비 대출 상품

일부 시중은행에서는 재개발·재건축 조합원 전용 이주비 대출 상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시

  • 국민은행: '집단이주비대출'
  • 신한은행, 우리은행: 조합과 협약한 이주비 대출 상품 운영
  • 대출 금리: 보통 연 3~5% 수준, 조합 협약 여부에 따라 달라짐

금융기관별 조건 확인 필요


4. 이주비 대출 시 주의할 점

① 기존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의 관계

기존 주택담보대출이 있다면 이주비 대출을 받기 전 일부 또는 전부 상환해야 할 수도 있음.

  • 기존 대출이 감정평가액의 40~50% 이하면 일부 대출 가능
  • 기존 대출이 많다면 대환 대출(이주비 대출로 기존 대출 전환) 필요

② 이자 부담 고려

  • 재건축이 지연될 경우 이주비 대출 이자가 계속 발생
  • 대출금리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조합과 금융기관의 금리 협약을 반드시 확인

③ 대출 승인 조건 확인

  • 조합과 협약된 금융기관을 이용하면 대출 승인 확률이 높아지고, 금리 혜택 가능
  • 대출 심사 시 조합원의 신용도 및 기존 대출 상황도 고려됨

5. 결론: 이주비 대출을 현명하게 활용하려면?

-조합이 협약한 금융기관을 통해 대출 조건을 확인
-기존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경우, 대환 대출 가능성 검토
-이자 부담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금융 계획 마련
-정부 지원 대출 상품을 활용하여 낮은 금리로 대출 진행
 
이주비 대출은 재개발·재건축 과정에서 필수적인 금융 상품이지만, 대출 한도와 조건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전에 조합과 금융기관에 충분히 상담하고,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대출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