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관련

지목 변경 후 토지를 매도할 경우 양도소득세는?

by 럽마셀유 2025. 4. 21.

지목 변경 후 토지를 매도할 경우 양도소득세는?

임야나 농지를 대지로 지목 변경한 후 매도하게 되면, 단순한 땅 거래와는 다른 세금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양도소득세는 지목 변경 여부와 시기에 따라 세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미리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목변경후토지매도양도소득세

지목 변경이 양도소득세에 미치는 영향

지목 변경은 토지의 용도를 바꾸는 행위입니다. 이 과정에서 토지의 가치 상승이 발생하게 되고, 대지로 변경된 이후에 매도하면 세법상 '비사업용 토지'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곧 중과세율 적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목 변경 전후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 비교표

 

항목 지목 변경 전 (임야/농지) 지목 변경 후 (대지)
과세 대상 일반 토지로 간주 (자경 시 감면 가능) 비사업용 토지 간주 가능성 ↑
세율 적용 방식 기본세율 (6~45%) 기본세율 + 추가세율(10~20%) 적용 가능
감면 혜택 자경 농지 감면 최대 100% 가능 감면 불가 (대지로 전환된 시점부터 해당 안 됨)
보유기간 산정 기준 전체 보유기간 ‘대지로 변경된 이후’부터 따로 계산될 수 있음
추가 과세 가능성 낮음 도시지역·개발지역일 경우 추가 중과 가능

 실전 예시로 보는 양도소득세 차이

조건 지목 변경 전 매도 시 (농지로 보유) 지목 변경 후 매도 시 (대지로 보유)

조건 지목 변경 전 매도 시 (농지로 보유)  지목 변경 후 매도 시 (대지로 보유)
취득가 1억 원 1억 원
양도가 2억 원 2억 원
보유기간 10년 (자경 농지) 10년 (대지로 변경된 지 1년)
적용 세율 자경 감면 후 낮은 세율 적용 (또는 비과세) 비사업용 토지로 중과세율 적용
최종 양도소득세 부담액 약 0~500만 원 이내 약 3,000만 원 이상 가능

※ 위 금액은 단순 예시로, 실제 세율은 부동산 정책 및 과세표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 지목 변경 후 일정 기간이 지나지 않았을 경우, 토지의 실사용 목적과 관계없이 비사업용 토지로 중과세율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세무서에서는 지목 변경 시점과 실제 사용 용도를 모두 고려하여 세금을 산정하므로, 단순히 지목만 변경한 뒤 매도하는 경우 불리할 수 있습니다.
  • 자경 여부, 보유 기간, 거주 지역, 1세대 1주택 여부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세금 부담이 달라지므로, 실제 매도 전에는 세무사 상담을 권장합니다.